미스 손탁(정명섭)

 
작가님과 만남을 앞두고 우리 학교 도서관에서 살펴본 책 중 표지가 인상 깊어 골랐다. '미스 손탁"

처음에 '미스'와 '손탁'이 잘 어울리지 않는다 싶었는데 앞뒤 표지를 훑어보니 대한제국 시기의 외국인 '손탁' 여사를 중심으로한 역사소설이었다. 대한제국 시기는 나라를 팔아 먹었던 매국노도 있었고, 나라로부터 받은 혜택은 없었지만 그 나라를 지키려 일어섰던 민중들이 있었고, 우리 민족을 사랑했던 외국인들이 있었다. 제목 속에서 그러한 외국인에 대한 이야기이겠다 싶었다.

 

생각해 보면 대한제국(구한말) 시기의 역사는 되돌아보기 부담스럽다. 국권 침탈을 목도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기도 하지만 그때의 문제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전히 위안부 할머니들께서 요구하는 일본 정부의 사과는 요원하고, 오히려 네이버 '라인' 사태를 보면서 이렇게까지 우리를 식민지 취급하는 일본 정부의 모습과 함께 그때로 회귀하고자하는 세력이 있는 것 같아 복장 터진다.


"미스 손탁"은 불편한 그즈음의 역사다. 그런데 또 생각해 보니 대한제국 이전 시기에 비해 대한제국 시기 이후의 역사는 제대로 배운 적이 없다. 그래서 이 소설의 묘미는 소설을 읽다 정말 이런 일이 있었는지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소설의 전제가 허구라 하더라도 그것은 거짓이라기 보다는 편집의 의미에 가깝기 때문에, 어떤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한 것인지 살펴보며 읽게 되었다. 놀랍겠도 역사적 사실을 바탕에 두고 있었으며 여전히 서울시청 근처 정동에 역사적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소설은 '헤이그 특사'를 중심으로, 만국평화회의에 우리의 형편을 알리기 위해 특사를 보내려는 노력과 이를 막으려 했던 일제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소설에서도 그러한 절박함이 잘 담겨 있다. 그러나 결론은 익히 알고 있듯 험난한 생활이 노정돼 있다. 그러나 소설을 읽으며 비록 우리 역사가 근대화는 늦었더라도 국가와 민족의 개념은 확실했으며, 적절히 규모에서의 자치를 꿈꾸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우리는 독립 국가로서의 역량이 충분히 성숙해 있었던 것이다. 즉 광복은 주어진 것이 아닌 우리의 노력 속에서 일어난 변수였다는 것.
 
"미스 손탁"을 읽다보면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도 떠오른다. 헤이그 특사 실패로 말미암에 강제로 군대가 해산되면서 정규군이 의병이 되는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다. 언제나 역사의 변곡점은 드라마나 영화의 주된 소재가 된다. 그것은 과거에 대한 아쉬움이기 보다는 과정에 충실했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노력들이 우리에게 독립을 가져다 주었다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서설을 읽으면서 서울 지도를 자세히 살피게 되었다. 경운궁과 정동 일대, 또 진고개와 애오개 등 서울의 지명 유래를 찾아 보며 읽었다. 읽으면서 장소 묘사가 어색하지 않는데 그건 작가님이 그만큼 충실히 자료 조사를 했고 이를 잘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가님이 답사 관련 책을 쓰시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여하튼 우리나라의 미래가 외국에 의해 결정되는 암울한 시대가 다시 돌아오지 않기를 바란다. 그렇다고 침략의 역사가 침범의 역사가 되기를 바라는 것도 아니다. 다만 대한제국 시기가 한일 관계가 현재화 된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때가 적잖다. 역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다는 게 우리 현대사의 가장 큰 한계이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