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체호프와 그의 시대' 강의를 듣고
- 행복한 글쓰기/일상에서
- 2019. 12. 11.
안톤 체호프와 그의 시대
경북대 노어노문학과 김규종
스페셜리스트-제너럴리스트
'뇌를 단련하다' 다쯔바라 다카히시
동경대 불문과, 철학과
이경석경 '경전으로 경전을 해석하다
요시카와 고지로 '공자와 논어'
고전을 읽어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을 수 있어.
떠돌이의 노래 1999
1. 양식 넘나들기
-푸쉬킨 : 시인, 소설가, 극작가 (6월6일 축제, 러시아 문화와 영혼을 처음으로 글로 표현한 작가. 러시아문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레르몬토프: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고골: 소설가, 극작가(검찰관-감사관)
-투르게네프: 소설가, 극작가, 산문시인(산문시 '거지'-윤동주 투르게네의 언덕, 김억 시인 소개, '처녀지'=1935년 동아일보 '상록수')
-톨스토이:소설가, 극작가(정제된 6막극을 씀. 조화와 균형 선호)
-고리키 : 소설가, 극작가('어머니'=>북한판 어머니=민중의 바다, 혈해)(극 '밑바닥에서')
-안드레예프 : 소설가, 극작가
-블로크 : 시인, 극작가(상징주의)
-마야코프스키 : 시인, 극작가(김남주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 하이네, 브레히트, 마야코프스키 등장)
-불가코프 : 소설가, 극작가(우크라이나 키예프 출신)
-파스테르나크 : 시인, 소설가(닥터 지바고)
-체호프 : 소설가, 극작가(레르몬토프 모방)
*예외 : 도스토예프스키, 오스트로프스키(러시아 극문학의 아버지, 러시아 전통적인 어휘들을 가지고 작품을 만듦)
볼쇼이극장, 우측 말레이극장(소극장, 1500명 수용)
2. 안톤 체호프의 시대(1860-1904)
1859 <종의 기원><두 도시 이야기>
1861<막대한 유산><악의 꽃> / 동학 창시와 포교 등
1862<레미제라블>, <아버지와 아들>
1866<죄와 벌>=초인'니체'의 출발, 강자에게는 모든 것이 허용된다.==>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이반의 대심문관..
1867<자본론>
1869<전쟁과 평화>: 대사 중 프랑스어가 절반 이상-<외눈박이 꾸뜨조프>
1872<비극의 탄생>:유럽 비극의 원류
1877<목로주점>, <안나 카레니나>,<처녀지>
1880<나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1884<거꾸로>조르쥬 이스망스, 에밀졸라 존경=>나스메 소세키<초침? 풀베기>=>세키가와 나쓰오 만화<도련님의 시대>
1891<테스>
1892<차라투스트라>
1895<비운의 주드> / 유길준 <서유견문>
1908년 '해에게서 소년에게' 1917년 '무정' 1935'상록수'
모든 혁명은 15년을 넘지 않는다
3. 체호프의 4대 장막극
1896<갈매기> (1898.12.17 모스크바예술극장)
1897<바냐 외삼촌>(1899.10.26.모스크바예술극장)
1900<세 자매>(1901.1.31.모스크바예술극장)
1903<벚나무 동산>(1904.1.17.모스크바예술극장, 체호프 생일, 6달이 안 돼 죽음)
-주인공이 없이 '앙상블 시스템' (주요배역 한무리)
-보편성을 가지고 있음.(러시아보다 전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음)
4. 체호프와 모스크바 예술극장
-예술극장의 상징(갈매기)
-볼쇼이 극장과 멀지 않아
-스타니슬라프스키(연기)
-네미로비치-단첸코
-올가 크니페르와 체호프
-노보데비치 수도원(러시아 대표 문학과 예술인들의 무덤, 자작나무)
5. 작가와 문제제기
-왜 인생의 도움이 되는 거대담론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니?
-27세 편지
-푸쉬킨<예브게니 오네긴> 1830
-톨스토이<안나 카레니나> 1877
이 두 작품도 문제제기만 함. 해결은 독자만이 할 수 있어
6. 사할린 여행과 톨스토이주의
이후 톨스토이와 결별(무저항 비폭력주의와 달라짐)
<다락방이 있는 집>, <6호실> (레닌)
야스나야 폴라냐 (톨스토이-인류 최후의 타이탄- 생가와 무덤)
-1890년 사할린 섬 여행, 도보와 마차여행-돌아올 때 배
-니코스 카잔자키스<희랍인 조르바>(유재원, 문학과지성사)
'나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 것도 두렵지 않다. 그래서 나는 자유롭다'
-호메로스, 베르그송, 조르바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 등.. 쿠르드족..조지아..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박노해
7. <세 자매>에서 생각할 문제
-도착과 출발의 구조(베르쉬닌과 군대)
:나머지 세 작품도 그대로 통용.
-예정과 실현의 시학(솔료느이와 투젠바흐, 모스크바)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가장 잘 쓴 방법, 서사연극, 줄거리가 중요하지 않아.
(투젠바흐 남작. 20-30년 후 모든 사람의 노동.
솔료느이. 자네 머리통에 쑤셔 박을 지도.. 그대로 적용
첫 장면의 코러스도 거의 적용)
-짧게 써진 장편소설(유장하게 흐르는 시간)
최소 4년 반의 시간이 흘러감. 돌이킬 수 없이 몰락하며 인생의 본질과 만남.
-장소의 고정, 무대의 중층성(코러스처럼)
-등장인물의 엇갈린 관계
안드레이-나타샤(키치,싸구려 프랑스어)-프로토포포프
쿨르이긴-마샤-베르쉬닌
투젠바흐-이리나-솔료느이
*2019. 12. 03.
'행복한 글쓰기 > 일상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낙동강 종주[7.29토~8.1화] 1 (0) | 2020.02.24 |
---|---|
담양 만덕산에서 맞은 2020 (0) | 2020.01.01 |
2018 금강 종주(5.19~5.20) (0) | 2018.05.21 |
꼴찌도 행복한 나라 독일을 가다(2014) (0) | 2017.09.24 |
사랑하면 알게 되고(만덕초등학교 문집에 투고한 글) (0) | 201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