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크리스마스다. 일어나 보니 동네 이곳저곳이 눈으로 덮여 있었다. 연휴라 눈 내린 풍경이 넉넉해 보였다.지난주 어머니, 민주와 함께 걷다 중간에 돌아온 만덕산 임도를 끝까지 걸어보기로 했다. 거리를 재 보니 입석 임도에서 청운 임도까지 약 7km 정도, 등고선을 보니 경사가 그리 심한 것 같지는 않았다.보온병에 뜨거운 물을 채우고 컵라면 2개와 간식, 혹시나 싶어 등산 스틱을 챙겨, 대덕면소재지 승강장으로 출발했다.입석으로 들어가는 군내버스는 창평 상삼천에서 10시에 출발한다. 10시 3분쯤 버스를 탔다. 작년 교육청으로 출근하면서 매일 이용했던 버스 기사님께 오랜만에 인사를 드렸다. 5분 남짓 버스를 타니 입석에 도착했다. 임도 입구 양지바른 곳은 눈이 다 녹았다.임도 입구는 양지바른 곳이라 잘 ..
2020년도 보름 남짓 남았다. 흘러가는 세월이 아깝지만, 세상의 이치가 그렇듯 코로나 '19'도 제발 '19'란 이름답게 얼른, 좀 떠났으면 좋겠다. 코로나로 아쉬움이 많은 해였다. 사실 코로나가 아니었어도 아쉬움은 적잖이 남았을 터였다. 나이를 먹을수록 했던 일에 대한 아쉬움이 크다. 세월이 나이대의 제곱으로 흐른다더니 틀린 말이 아니었다. 나이를 먹을수록 속도가 빨라지고 시야가 좁아진다. 익숙함을 추구하고 그렇게 편견도 생기다보니 '새로운' 경험이 적어진다. 당연히 하루하루의 일상도 줄어들 수밖에 없고. 어젯일인지 그젯일인지 헷갈릴 때도 많다. 블로그에 쓴 글도 내 글인가 싶기도 하고. 그래서 올해 기록한 만큼 내 삶이란 생각으로 일기를 열심히 썼다. 있었던 일을 시간 순으로 기록하기도 하고, 책을..
걷기 좋은 날이다. 계절의 변화 덕분에, 자주 걷는 길도 날마다 새롭다. 그렇게 걸어 보니 우리 동네도 걷기 좋은 곳이다. 너무 좋아서, 기억하고 싶어서, 언제든 둘러보고 싶어 산책길 풍경을 사진과 함께 스케치해 둔다. 우리 동네에는 동네 전체의 풍경을 멋스럽게 만들어 주는 소나무가 두 그루 있다. 그래서 우리 집에서 바라보는 풍경도 좋다. 집을 지을 때 소나무들이 보이는 방향으로 창을 냈다. 그래서 동네의 다른 집들과 방향은 다르지만 매번 풍경을 볼 때마다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첫 번째 소나무는 우리가 이사 온 뒤로 태풍에 한 가지가 꺾였다. 그래도 지금도 든든하게 자리를 지켜주고 있다. 몽한각 입구를 환하게 밝혀 준다 두 소나무를 조금 걸어 올라가면 옆 동네, 팔학마을 입구가 나온다. 운암리로 이어..
16세기 양반들의 생활사를 미시적으로 들여다 본 것처럼 생생하고 재미있었다. 마치 그 당시 어느 한 장면을 동영상으로 찍은 것처럼 실감나게 전달이 되었다. 특히 미암과 덕봉, 김인후, 허균 등 많이 알려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방굿덕, 은우어미, 옥석, 마귀석, 대공, 몽근, 치산, 유지 등 미천한 신분의 사람들까지도 생생하게 묘사되어 등장할 때마다 친근한 느낌이 들었다. 원문을 읽지 못한 아쉬움이 크지만, 를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풀어 쓴 정창권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었다. ※ 에 대해 정리 1. 미암이 55세가 되는 해인 1567년 10월부터 1577년 5월까지 11년에 걸친 한문 일기 2. 11책, 일기 10책과 덕봉의 시문집 1책 3. 편찬에도 중요한 사료의 역할을 담당함. 보물 206호 4. 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