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거가 상징하는 것? -지구의 남반구에 사는 후진국, 아프리카의 빈곤층이며 에이즈에 감염된 소외계층의 아이들 아버지는 보거를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라고 하며 ‘절대 빈곤’을 상징하고 외면해서는 안되는 존재로 묘사함, 어른들들이 저지른 잘못으로 탄생한 아이들. -마지막 부분에 아들이 보거를 구해 오는 것은 어른들이 포기해 버린 희망을 아이들이 다시 찾아 인류의 미래를 바꾸는 것을 의미함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신화: 세트의 질투는 강대국의 이기심을 상징하며 아들이 보거를 구해내는 것과 이시스가 오시리스를 살려내는 것을 동일하게 여김. 오시리스의 시체가 토막나 찾을 수 없는 것처럼 지구가 위기에 처해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도저히 가능해 보이지 않는 오시리스의 부활을 이시스가 해낸 것처럼 위기의 지구를 ..
모임에서 홍세화 님의 책 와 로 독서토론을 계획하였다. 책을 읽고, 생각하면서 이 책을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풀어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뚜렷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줄거리를 요약할 수도 없고, 아이들 수준에 딱히 맞는 글도 아니라는 생각이 주된 것이었다. 또 사회적으로 뚜렷한 호응을 받았던 이 글을 학교 안으로 끌고 들어갔을 때의 논의 방법도 고민되었다. 지금도 우리 교육청은 정보통신윤리 운운하며 4.3 항쟁 사이트조차 접근할 수 없도록 해 놓았으니. 시간이 담보되면 더 충실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모임이 보충해 주리라 믿는다. 독서토론과 독서지도방법을 고민하면서 이 책이 학생들에게 어렵고(실제로 홍세화씨 홈페이지에는 어렵다는 그래서 줄거리를 가르쳐달라는 학생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