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영향이 생각보다 길어지고 화상으로 만나는 모임도 조금씩 익숙해 지고 있다. 독서 모임도 1학기 내내 만나지 못했다가 9월부터 ‘줌’을 활용해 모이고 있다. 비대면 상황이라 상황 맥락을 공유하지 못해 자유롭게 마음껏 이야기 나누지는 못하지만, 상대방의 말에 오롯이 경청하는 태도도 생긴다. 그래도 아직은 만나는 것만 같지 못하다. 이번에 읽은 책은 소설 “아몬드”의 손원평 작가의 최근 작품이다. 비교적 여유 있게 책을 구했지만 코로나가 진정(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되면서 모임과 출장이 몰리면서 이 책을 읽지 못하고 모임에 참가했다. 모임 샘들의 반응은 크게 둘로 나뉘었다. 사랑하고 헤어질 때, 서로 상처 받지 않으려고 방어적이거나 일정한 거리 유지에 신경 쓰는 모습들이 요즘 사람들의 정서와 비슷해 ..
진짜 감정, 책의 힘, 이해하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게 한다. 주인공 ‘윤재’는 ‘감정’을 느낄 수 없어 오히려 진짜 자기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고, 격한 감정 속에 자신을 내맡기는 ‘곤이’를 이해할 수 있다. 이야기를 듣다 보면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감정’이 사회화를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어 진다는 느낌도 든다. 결국 ‘이해’와 ‘사랑’이 중요하다. 감정을 느끼지 못한 ‘윤재’도 할머니와 엄마의 사랑을 통해, 자기만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아버지에 대한 반발심이 더 커진 ‘곤이’도 성장하기 때문이다. 갈수록 특별한 개인이 많아져 이해하기 어려운 사회를 유지해 가는 힘도 결국 이해와 사랑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에 대해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