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전국국어교사모임 연수를 들으러 부산에 며칠 머물다 돌아오는 길에 제철 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었다는 ‘F1963’을 들렀다. 차도 마시고 미술품도 관람하고 yes24 중고서점에 들렀다 “김상욱의 과학 공부"를 재미있게 읽고 난 뒤여서 이 책을 구입했다. 한두 번 펼쳐보기는 했는데 내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책장에 꽂아두기만 했는데 다행히 이번 독서 모임에서 함께 읽기로 해 처음부터 쭉 읽어보았다. 이 책은 물리학의 기본 개념들을 소개하고 있다. 물리는 지구가 돈다는 발견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구가 돈다는 것은 사람의 상식과 편견을 버려야 이해할 수 있다. 호기심으로 출발해 관찰하고 인과관계를 찾으며 현상을 이해하는 학문이 물리인 듯싶다. 만물의 이치를 살피다 보면 인..
이 책을 읽고, 이어서 영화 “콘택트(contact)”를 보았다. 확실히 이 책은 ‘칼 세이건’을 오마주한 책이다. “콘택트”도 읽어야 하는데 급한 마음에 영화부터 보았다. 원작과 영화에 다른 점이 있다고 하지만 “코스모스”와 결이 비슷해 ‘칼 세이건’ 박사를 쉽게 떠올렸다. 부끄럽게도 몇 년 전까지도 ‘칼 세이건’을 몰랐다. 문과생들만 모여 있는 독서 모임에서 각 분야의 고전도 가끔씩 읽어보자는 제안으로 읽게 된 책이 “코스모스”였다. 숙제가 아니라면 가까이 다가가지 못했을 것이다. 전공 서적도 아닌 대중 서적에서 거꾸러지는 것 같아 어떻게든 읽어보려고 관련 자료를 찾아 듣고 보다 보니 “코스모스”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띄엄띄엄 읽어 사실 완독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다만 “코스모스”를 읽..
‘왓칭’을 읽으면서 새삼 우주에 대한 관심이 일었다. 우주의 기본 요소와 인간을 이루는 기본 요소가 같기에 ‘관찰자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면, 결국 모든 것은 통한다는 내용이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 책은 ‘우주와 나’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작가는 이걸 ‘우주관’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인류가 지구와 우주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에 대한 성찰의 과정이 우주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었음을 말해 주고 있다. ‘우주와 나’는 공통점이 많다. 우주 역시 나처럼 태어나고 성장하며 소멸하고 또 다른 생명의 기원이 되도록 아낌없이 나눠준다. 우주와 인류의 구성 성분들을 보면, 결국 우주가 나를 만든 것이며, 우주의 특성이 오롯이 나에게 내재돼 있다. (84) 별을 보고 우주를 생각하는 삶을 살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