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2011년 상반기 운영 평가

2011.7.18~19 광주학생교육원에서 혁신학교, 예비혁신학교 세 학교가 모여 상반기 운영을 평가했는데요,
그때 발표했던 원고입니다.

2011년 1학기 혁신학교 운영 평가(신광중).pdf


<토론하여 정리한 내용>


1. 업무 경감과 역할 분담에 따른 소통 문제
가. 업무 경감
-2학기 때 업무경감 특별위원회 구성(교감 팀장), 실제적인 업무 분석 및 정리 작업

나. 소통 문제
① 회의 횟수를 늘리는 방안: 월 1회에서 월 2회로 조정.
② 회의의 질은 높이고 소통을 강화하는 방안
◦학교혁신, 문화예술부 등을 지원 격려할 담임 교사 모집→새로운 일을 만들어 학년협의회에서 논의→기획회의 전에 안건 제시 후 충분히 논의
◦수업 연구회에 관한 소통 방안:
-학년 나눔 수업 때, 학년 중심의 연구회로만 활동할 것이 아니라, 필요하면 관련 교과가 나눔 수업에 참여하고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에서 노력하기로 함.
◦혁신학교 소모임은 현안보다는 장기적인 추진 계획을 고민하는 모임으로.

2. 학생회 활동 활성화 방안(학교 축제와 연계하여)
가.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방안
-학생회 자치 활동이 활성화 되고 있는 것에 대해 모두 공감.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개입-활동 안내, 다른 학교의 사례로 조언-이 필요함.
-특히 11월 축제를 교사의 수준과 요구, 학생의 수준과 요구가 만나는 지점에서 열자.

나. 학교 축제

3. 방과후 활동(방과후학교, 공부방, 스포츠 클럽) 활성화 방안
가. 방과후 학교, 공부방
-방과후학교, 공부방 모두 진행 과정에서 결석률이 높은 이유는?
-학생들의 요구 지점을 파악하면 좋겠다. 횟수, 듣고 싶은 과목, 지속성 등.
-공부방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다. 필요하다면 내년 계획을 세울 때는 혁신학교 운영비를 활용하면 좋겠다.

나. 스포츠 클럽 활성화 문제
-스포츠 클럽은 무료로 진행되기 때문에 교사의 희생을 강요하는 측면이 있다. 올해 담당 선생님의 의지가 높으나 내년 이 사업이 지속된다는 보장도 없다. 방과후학교로 진행되는 게 적절하다.
-우리 학교가 혁신학교로서 문화 예술 체육 교육을 강화하려는 상황에서 특색 사업으로 혁신학교 운영비에서 지원 가능한 방법도 있지 않을까
-학교 시스템으로 해결해 보자.

4. 수업 공개 확대, 혁신학교 장기적 활동을 위한 소모임 구성
가. 수업 공개 확대
-수업 공개의 효과는 설문조사와 같이 긍정적으로 평가 되었다. 수업 연구 분위기 쇄신을 위해 외부 교사로 확대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
-수업 공개 횟수나 범위 보다는 내실 있게, 현재 수준에서 진행했으면 좋겠다.
-2학기도 현재와 같이 진행하는 것으로 정리하자.

나. 혁신학교 소모임 구성
-혁신학교 4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연구+실천 모임으로 새롭게 탄생

5. 인권 친화적+실질적 학생 생활교육 방안
-성찰 교실 운영에 대해 합의

6. 학생 평가 방법의 개선(2학기 교과협의회, 학년협의회에서)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