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못하는 나라, 하지만 꼴찌도 행복한 나라 ‘독일’을 가다 1. 우리는 우리의 자아를 가르친다 교육학 고전인 “가르칠 수 있는 용기(파커 J. 파머, 한문화)”에서는 교사는 자신의 자아를 가르치며, 훌륭한 가르침은 테크닉이 아닌, 교사의 정체성과 성실성에서 나온다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교사의 자아는 무엇일까.청춘을 교직에 바치려 했을 때의 신념, 아이들과 만나는 주요한 통로가 되는 교과에 대한 즐거움, 학창시절을 통해 겪었고 현장에서 존경의 사표가 되어주는 위대한 스승과 나의 가르침을 통해 새로운 세상에 대해 눈뜰 아이들의 즐거워하는 모습들이 한데 얽혀 정체성을 이루고, 이를 끊임없이 유지하며 실천하려는 성실성이 교사의 자아라고 한다. 그런데 교육 현장에서 시간을 보낼수록 교사의 자아는 매번 다양한 ..
1. 짧은 감상 생동감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흥에 겨워야하고 아이들을 흥겨움과 움직임으로 이끌어야 한다. 그런 수업은 즐겁다. 내 수업이 '즐겁지' 못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아이들과 노래하는 것(당연히 아이들 앞에서 노래하는 것 포함)은 물론 '대~한!민!국!'하며 구호를 외치는 것을 어머나 부끄럽게 여기나. 교사의 한계로 인해 생동감을 거세하는, 깨기 힘든 바위 같은 나의 껍질을 확인하게 하는 책이다. 교사로서 한빛고와 같은 대안학교에 근본적인 미안함이 있다. 그렇게 해야한다고 생각하면서 그렇게 할 자신을 한 번도 그려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삐딱하게 생각을 풀어나갈 때도 있다. 결국 이런 교육도 소수를 대상으로 한 소수만이 누릴 수 있는 특별 교육 아닌가 하는... 마음도 ..